Blue collar: 현장직 노동자, 육체노동자

회사를 떠올릴 때, 사무실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공장에서 몸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구분되어 떠오르곤 하죠. 이 중에서 현장에서 손과 몸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을 영어로는 blue collar workers라고 부릅니다.
이 표현은 단순한 직업 분류를 넘어, 노동 환경, 계급, 사회 구조를 설명할 때도 자주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사용 빈도: ★★★★☆
blue collar는 사회, 경제, 고용 관련 뉴스나 보고서, 대중문화, 정책 토론 등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일상 대화에서도 직업이나 배경을 설명할 때 자연스럽게 쓰이며, white collar(사무직)와 함께 세트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blue collar의 의미와 사용 예
blue collar는 “현장직 근로자”, “육체노동자”를 의미하며, 공장, 건설, 물류, 정비, 제조업 등에서 손과 몸으로 일하는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예문:
He grew up in a blue-collar family in Detroit.
– 그는 디트로이트의 현장직 가정에서 자랐어.
The candidate promised to protect blue-collar jobs.
– 그 후보는 육체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지키겠다고 약속했어.
There’s been a decline in blue-collar employment in recent years.
– 최근 몇 년간 현장직 고용이 줄고 있어.
blue collar의 유래

이 표현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유래했습니다.
그 당시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푸른색 작업복(청색 셔츠, 덴임 유니폼 등)을 입은 데서 ‘blue collar’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입니다.
‘collar(칼라)’는 셔츠의 깃을 뜻하며, 당시 작업복은 때가 덜 타는 진한 색 위주였기 때문에 “blue”가 상징이 되었죠.
이에 반해, 사무직 종사자들은 보통 흰 셔츠를 입었기 때문에 ‘white collar’로 불렸습니다. 이후 이 표현은 직업의 특성, 계층, 생활양식까지 암시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A: What does your dad do?
B: He’s a blue-collar worker—he’s been working at a car factory for 30 years.
A: Wow, that’s impressive. Hard work really runs in your family.
B: Yeah, he’s one of the most dedicated people I know.
(해석)
A: 너희 아버지는 뭐 하셔?
B: 현장직 근로자셔. 자동차 공장에서 30년 넘게 일하셨어.
A: 와, 진짜 대단하시다. 너네 가족은 진짜 근성이 있네.
B: 맞아, 내가 아는 사람 중에 제일 성실하셔.

오늘은 몸으로 일하는 노동자들을 일컫는 표현인 blue collar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직업의 형태는 달라도, 그 안에 담긴 노력과 가치는 같습니다.
Respect all work—every collar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