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ght는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낮은 상황을 추측할 때 사용됩니다. might 는 가능성이 낮은 30% 정도입니다. might 역시 조동사이기 때문에 이 전 조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면 됩니다. 부정문을 만들 때는 might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들고, 축약형으로 mightn'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ight의 축약형은 그렇게 흔한 표현은 아니에요. 의문문을 만들 때는 might를 문장 앞에 꺼내서 만듭니다. 하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might로 질문하는 건 아주 오래된 느낌(몇 백 년 전 느낌)을 주기 때문이에요. 그러나 오래된 영화나 미디어에서 이러한 표현이 나올 수 있으므로 기억해 둔다면 영화를 볼 때 도움이 될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