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영어 못하는건 지겨워 Book/이.영.지 - 입문 17

Chapter 17) [개인 의무] have to : ~해야 한다

[개인 의무] have to : ~해야 한다 의무를 나타낼 때는 have to를 사용합니다. have to 는 일반적인 일이나, 개인적인 책임과 함께 쓰입니다. You have to wake up early. : 나는 일찍 일어나야 해. have to 는 일반동사처럼 의문문과 부정문을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have 는 조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3인칭 단수 현재에서 형태가 바뀌는 것을 주의 해 주세요!ex) 나는 가야 돼. I have to go. 그녀는 가야돼. She has to go. have to의 부정형 don’t/doesn’t have to 는 ~할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don’t/doesn’t need to와 같은 뜻을 갖습니다. You don’t have to come here. : 너는 여..

Chapter16) [가능] can : ~할 수 있다

[가능] can : ~할 수 있다 조동사는 원래 동사에 조동사를 붙여 동사를 도와 의미를 확장해주는 역할을 해요. 조동사는 주어와 상관없이 원형을 사용하고 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이 나옵니다. 조동사의 부정문은 조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듭니다.  조동사의 의문문은 조동사를 문장 앞에 꺼내서 만듭니다.​ 능력이나 가능을 나타낼 때 can을 사용합니다. 허락을 구하는 표현에서도 Ca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an I~ 이렇게요! Can I sit here? : 제가 여기 앉아도 되나요?You can sit here. : 여기 앉아도 돼요. I can swim. : 나는 수영할 수 있어. can 의 부정형 can not 은 할 수 없다, 혹은 하면 안 된다. 라는 표현입니다.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는 ca..

Chapter 15) [미래] will : ~할 예정이다

[미래] will : ~할 예정이다 일반동사나 be동사는 현재형과 과거형이 있지만 미래형은 따로 없어요. ​영어의 동사 "be"는 현재형, 과거형, 현재분사, 과거분사 등의 형태로 사용되지만, 미래형 자체가 없습니다. 이는 "be" 동사가 미래 시제에서 조 동사 "will"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문법적으로 복잡한 현상이 아니라 언어의 발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입니다.​천주교 사상과 관련하여 이 현상을 설명하자면, 이는 언어의 시제 개념과 신학적 시간 개념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한 이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천주교 사상에서 시간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1. 과거: 창조와 구속의 역사,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성경의 사건들이 속..

Chapter 14) 영어 전치사 =:= 한국어 조사?

영어 전치사 =:= 한국어 조사? ​ 전치사는 한국어의 조사 같은 느낌이에요.  ​​너는 목소리도 멋지다.너는 목소리는 멋지다. ​두 문장을 외국인이 들었다면 둘 다 목소리 멋지다고 하는 표현으로만 생각할거에요. 하지만 한국인인 우리들은 두 번째 문장을 들으면 아주 기분이 나쁘죠! 왜냐하면 목소리“는” 멋지다는 표현은 목소리를 제외한 나머지는 멋지지 않다는 느낌을 받잖아요! ​전치사도 마찬가지입니다.  ​to 는 ~로 향하는 느낌with 은 ~와 함께하는 느낌at 은 과녁의 느낌이니까 시계바늘 같은 느낌을 생각해 보세요.in 은 긴 시간을 의미하죠.on 은 ~위에 닿아있는 느낌이에요. ​그래서 at 뒤에는 시간, in 뒤에는 계절, 달, 년도가 오고 on 은 달력위에 쓸 거라서 특별한 날이나 요일이 나옵..

Chapter13) 일반동사 과거 – 의문문 / 부정문

일반동사 과거 – 의문문 / 부정문​​부정문을 만들 때에는 주인공(주어)와 동작(동사) 사이에 숨어있는 did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듭니다. 주인공(주어)의 인칭에 관계없이 did를 사용합니다! ​ 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주인공(주어)과 관계없이 did 를 문장 맨 앞에 꺼낸 뒤 뒤에 있는 동사를 원래 형태(원형) 으로 만들어 주면 돼요!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는 Did not 을 반드시 줄인 형태로 사용합니다. 부정 의문문Didn’t IDidn’t we /Didn’t you /Didn’t theyDidn’t he/ Didn’t she/ Didn’t itDidn’t my friends/ Didn’t the teachers...Didn’t my mom/ Didn’t the boy ​

Chapter 12) 일반동사 과거 – 불규칙

과거동사의 형태가 달라지는 불규칙 ​​이번 챕터에서는 과거동사의 형태를 달리 하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과거 동사를 만드는 방법은 네 가지가 있습니다.ⓐ A – A – Aⓑ A – B – Bⓒ A – B – A ⓓ A – B – C  ⓐ A – A – A 여기서는 현재, 과거 그리고 세 번째 동사(과거분사) 가 형태가 같은 동사를 말합니다.cut – cut – cut / hurt – hurt – hurt / sit – sit – sit 과 같은 동사들이 있습니다. ⓑ A – B – B 여기서는 현재를 제외한 과거와 세 번째 동사(과거분사)의 형태가 같은 동사를 말합니다.make – made – made / have – had – had / bring – brought – brought과 같은 동사들이 ..

Chapter 11) 일반동사 과거 – 규칙 (-ed)

과거의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  일반동사 과거는 과거의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했(었)다 로 해석합니다. 일반동사의 과거형은 ⓐ 과거에 했던 일 ⓑ 과거 습관이나 버릇 ⓒ 역사적인 사실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주인공(주어)에 관계없이 동사는 과거동사로 바꿔줍니다. 과거동사로 바뀌는 경우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동사 뒤에 –ed를 붙여 만드는 경우가 있고(규칙동사) 다른 하나는 아예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불규칙 동사) 가 있습니다.​​​

Chapter 10) 명령문

명령문 앉아라! 서라!를 영어로 할 때 우리는 Sit down! Stand up! 이라고 하는 걸 들어보신 적이 있을 거 에요. 이것은 명령문의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조용히 해라! 할 때는 어떻게 하는지 혹시 들어보셨나요? Be quiet! 이라고 하죠. 여기서 quiet 은 조용한 이라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be동사와 함께 나옵니다. 형용사는 혼자 쓰일 수 없고 반드시 be동사와 함께 나와야 해요!  ​​명령문의 부정문 즉, ~ 하지 마라는 Don’t를 사용해서 나타냅니다. Don’t 뒤에 동사 원형을 써주면 돼요. ​​명령문에 주어가 없는 이유는 듣는 사람이 너 혹은 너희(You) 이기 때문에 생략을 해요. 다만 강조를 하고 싶을 때는 You를 쓰기도 ..

Chapter 9) 얼마나~, 어떤 ~? 의문사 활용

how + 형용사 / 부사의문사 how 뒤에 형용사나 부사를 붙이게 되면 얼마나 ~ 한 혹은 얼마나 ~ 하게 하는 뜻이 됩니다. Howoften얼마나 자주long얼마나 오래far얼마나 멀리old얼마나 나이든, 얼마나 오래된  what + 명사의문사 what 뒤에 명사를 붙이게 되면 무슨 ~ 혹은 어떤 ~ 라는 뜻이 됩니다. Whatfood어떤 음식movie어떤 영화sport어떤 스포츠book어떤 책kind of어떤 종류의 ~

Chapter 8) 얼마나 자주?

빈도부사​ 빈도부사는 얼마나 자주를 나타내주는 단어에요! 보통 동작(동사) 앞에 위치합니다. be조뒤 일반 앞 / 문장 앞과 뒤에 위치 가능​합니다.​​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빈도 부사에는 “항상 - always,” “보통 - usually,” “자주 - often,” “가끔 - sometimes,” “거의 ~ 않다 - rarely,” “절대 ~ 않다 - never” 등이 있습니다.  ​​우리는 3인칭 단수 현재시제일 때 동사 뒤에 -(e)s를 붙이는 것을 배운 적이 있죠. 빈도부사가 s로 끝나는 것들이 있지만 이 단어들은 여러 번 하기 때문에 s 가 붙은 거지 주인공이 3인칭이여서 붙인 게 아니라는 것을 기억 해 주세요. 빈도부사에 s가 들어가 있더라도 주어가 3인칭 단수에 현재시제라면 동사 뒤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