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영어 못하는건 지겨워 Book/이.영.지 - 프랙티스 15

Chapter 15 – 5형식 맛보기

나는 저 문을 열고 싶어. 라는 이야기를 해 볼게요.     I want to open the door. 이 문장에서는 누가 문을 열고 싶어 하고 누가 문을 열까요? 이 문장에서는 '내'가 문을 열고 싶어 하고 실제로 열 사람도 '나'입니다. 그런데 내가 문을 열고 싶지만 다른 사람이 문을 열어주길 바랄 때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이때는 두 문장을 합쳐 볼게요.I want to open the door. 하고 I want you. 하구요.   그러면 우리는 I want you to open the door. 라는 문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무엇인가를 해주길 원할 때는 목적어 자리에 목적격(you, him, her 등)을 넣고, 'to' 뒤에는 원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원형이 옵니다...

Chapter 14 – 장소 전치사

이번 챕터에서는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전치사들의 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at'은 공공기관과 그 서비스를 받는 장소, 집이나 학교, 교회 같은 특정 장소, 그리고 구체적인 위치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at’은 과녁의 느낌을 생각하시면 돼요. 콕! 집어서 구체적이고 좁은 장소의 느낌이 들어요. 예를 들어, "She studies at the library."는 그녀가 도서관에 서 공부한다는 의미로, 공공기관을 나타냅니다. 또 "He is standing at the door."은 그가 문에 서 있다는 뜻으로 구체적인 위치를 표현해요.       'in'은 공간이 입체적인 경우, 탈 것 안에서 움직일 수 없거나 설 수 없는 상황, 또는 경계가 있는 공간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Chapter 13 – 다른 사람 말 옮기기

이 챕터에서는 다른 사람의 말을 옮기거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법을 학습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 think"는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내 생각에는”, “~인 것 같아” 로 해석해요. "I think he plays the piano well." (나는 그가 피아노를 잘 치는 거 같아.) 라고 말할 수 있죠. 이 표현은 아래에 나오는 표현들보다 더 강한 느낌이 들어요. "I don't think"는 부정적인 의견이나 생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나는 ~라고 생각 안 해”, “~가 아닌 것 같아” 로 해석합니다. 이 표현은 보통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는 이미 부정표현이 있기 때문에 유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I don't ..

Chapter 12 – 조동사 might (약한 추측)

might는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낮은 상황을 추측할 때 사용됩니다.     might 는 가능성이 낮은 30% 정도입니다. might 역시 조동사이기 때문에 이 전 조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면 됩니다. 부정문을 만들 때는 might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들고, 축약형으로 mightn'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ight의 축약형은 그렇게 흔한 표현은 아니에요.   의문문을 만들 때는 might를 문장 앞에 꺼내서 만듭니다. 하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might로 질문하는 건 아주 오래된 느낌(몇 백 년 전 느낌)을 주기 때문이에요. 그러나 오래된 영화나 미디어에서 이러한 표현이 나올 수 있으므로 기억해 둔다면 영화를 볼 때 도움이 될 거에요.

Chapter 11 – 조동사 should (제안)

조동사 should 는 충고나 제안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하는 게 좋겠다, ~ 해야지, ~ 해야 할까, ~하지 말아야지” 로 해석 합니다. should는 조동사이기 때문에 부정문을 만들 때는 조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들고 의문문은 조동사를 문장 앞에 꺼내서 만듭니다.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는 should not 을 반드시 줄인 형태로 사용합니다.    부정 의문문Shouldn’t I Shouldn’t we / Shouldn’t you / Shouldn’t theyShouldn’t he/ Shouldn’t she/ Shouldn’t itShouldn’t my friends/ Shouldn’t the teachers...Shouldn’t my mom/ Shouldn’t the boy

Chapter 10 – 수량 형용사

이번 챕터에서는 수량을 나타낼 수 있는 표현을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수량 형용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수량을 나타내며,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에 따라 다른 형용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many'와 'much'는 모두 '많은'이란 뜻이에요. 'many'는 셀 수 있는 명사와 함께 쓰고, 'much'는 셀 수 없는 명사와 함께 씁니다. "She bought many apples"는 '그녀는 많은 사과를 샀어.'는 의미로, 셀 수 있는 명사 'apples'와 함께 사용하고 또 다른 예로 "He drank much water"는 '그는 많은 물을 마셨어.'라는 의미로, 셀 수 없는 명사 'water'와 함께 사용됩니다. .  ‘a lot of’도 'many'와 ‘much'처럼 '많은'이라는 의..

Chapter 9 – 숫자 읽기 (2)

Unit 1) 전화번호, 방 번호    전화상에서 숫자에 관한 정보를 이야기 할 때에는 정확하게 말해야 상대방이 알아듣기 편하겠죠. 전화번호는 이야기 할 때는 한자리씩 읽습니다. 0은 알파벳 ‘o’ 와 비슷하게 생겨서 ‘oh’라고 읽을 수도 있고 ‘zero’라고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060-1234-5567이라면 이렇게 읽습니다."Oh/zero six oh/zero, one two three four, five five six seven"  지역번호는 area code라고 먼저 말한 뒤, 숫자를 읽으면 되는데 사실 상대편이 먼저 지역번호(area code)를 묻지 않는 경우에는 ‘area code’라고 말하는 것을 생략하고 바로 번호를 읽기도 합니다. 방 번호의 경우는 room을 ..

Chapter 8 – 그치? ‘부가의문문’

Unit 1) “그치~?” 부가의문문   부가의의문문은 “그치~?”를 물어보는 질문입니다. 평서문 뒤에 짧은 의문문을 부가적으로 꼬리표처럼 붙여서 상대방의 의견을 확인하거나 동의를 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평서문이 긍정이면 부가의문문은 부정으로, 평서문이 부정이면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해 주시면 됩니다. 이때 부정문인 부가의문문을 만들 때는 반드시 줄인 표현으로 사용을 합니다. 그러나 am not 은 줄임말이 없기 때문에 aren't 으로 사용합니다. 여기서 만약에 평서문에 never나 rarely 가 들어간다면 이미 부정이기 때문에 부가의문문은 반드시 긍정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부가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반드시 평서문에 사용된 동사와 같은 동사를 사용하고 같은 시제를 사용해야합니다. 조동사도 ..

Chapter 7 – 숫자 읽기 (1)

Unit 1) 숫자 읽기  영어는 숫자를 읽는 방법이 매우 단순합니다. 콤마를 기준으로 읽어주시면 됩니다. 우선 1부터 100까지만 셀 수 있으면 조까지 셀 수 있어요. 10의자리의 수는 수 끝에 -teen을 붙이면 되고 10단위의 숫자는 뒤에 -ty를 붙이면 됩니다. thirteen(13), twenty(20) 이렇게요. 100부터는 끝에 hundred를 붙여서 100자리의 숫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one hundred(100) 이렇게요.  천부터는 콤마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1,000 이렇게요. 이때 첫 번째 콤마는 thousand 라고 읽습니다. 그래서 콤마 앞에 있는 숫자를 읽어주고 thousand를 붙여주시면 됩니다. 이때, 뒤에가 0으로 끝나면 그냥 one thousand 이렇게 읽지만 1,..

Chapter 6 - ~하는 중이었다 ‘과거진행’

Unit 1) 과거 진행형의 구조과거 진행형은 be동사를 과거로 표현해서 나타냅니다. 과거진행형은 “~ 하는 중이었어” 로 해석을 합니다.      be동사는 주인공(주어)에 따라서 형태가 변화하며 원래형태(기본형)은 be입니다. 주어be동사Iwaswe/you*/theywerehe/she/itwasmy friends, the teachers...weremy mom, a boy...was *you 는 너/너희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수취급을 해 줍니다. 그래서 you 는 were과 함께 쓰입니다. 과거 be동사는 주어와 함께 줄여서(축약형)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Unit 2) 과거 진행형의 부정문과 의문문부정문을 만들 때는 be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듭니다. be동사와 not은 축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