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 1) 일반 동사의 과거형
일반 동사의 과거형은 주어 + 과거동사 + 목적어 순서로 평서문을 만듭니다. 의문문은 문장 맨 앞에 did를 넣어 만듭니다. 과거형 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주어와 관계없이 모두 did 로 시작합니다. 부정문은 주어 뒤에 didn't를 사용합니다. 과거동사는 규칙동사와 불규칙 동사로 나뉘며, 이는 암기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규칙동사는 보통 동사에 -ed를 붙여 과거형을 만들지만 불규칙동사는 형태가 다양하여 따로 암기가 필요합니다.
Unit 2) 관사, 그리고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명사는 셀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뉩니다. 셀 수 없는 명사에는
ⓐ 감정, ⓑ 액체 / 기체, ⓒ 너무 작은 것 (쌀, 소금, 모래, 먼지 등), ⓓ 집합 (가구, 음식, 과일, 돈 등), ⓔ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이름 (이름, 국가, 지명 등)이 있습니다.
관사는 셀 수 있는 명사가 하나일 때 a나 an를 붙입니다. 발음이 모음(a, e, i, o, u) 으로 시작되면 an을 사용합니다. 보통 정해지지 않은 하나를 이야기 할 때 a(an)을 사용합니다.
the는 화자(말하는 사람)와 청자(듣는 사람)이 둘 다 서로 알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 이미 나온 명사를 또 다시 언급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둘 다 아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동사 "play"는 세 가지 종류의 목적어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스포츠, ⓑ 게임, ⓒ 악기입니다. 스포츠나 게임은 관사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목적어가 옵니다. 예를 들어, "I play soccer." 또는 "I play games."라고 합니다. 하지만 악기를 말할 때는 "the"를 붙여야 합니다. 기억하기 쉽게 "악기만 the = 야끼만두“ 라고 외워보세요.
예를 들어, "I play the piano." 또는 "I play the violin."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스포츠, 게임 그리고 악기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겠죠?

Unit 3) 불가산명사의 단위 표현
셀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공부하다 보니 ‘아니, 물 한 병! 이렇게 세면되는 거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드실 텐데요. 맞아요. 물은 ‘병’ 이라는 단위로 셀 수 있습니다. 그래서 셀 수 없는 명사는 단위가 반드시 필요해요.

한 컵의~
|
a cup of
|
한 병의~
|
a bottle of
|
한 꼬집의~
|
a pinch of
|
한 모금의~
|
a sip of
|
* ‘한 모금을 마시다’ 라는 표현에서는 drink 가 아닌 take 나 have를 사용합니다.
Unit 4) 무관사 명사
그런데 무조건 관사를 붙이는 것은 아니에요. 관사를 붙이지 않는 것도 있어요. 관사를 붙이지 않는 것은 무관사라고 합니다. 장소나 건물이 본래의 목적으로 쓰일 때나 일반적으로 하는 식사에는 관사를 붙이지 않아요. 그러나 특별한 식사에는 관사가 붙습니다.
I go to school.
I go home.
He goes to the church.
I have lunch.
a nice breakfast : 멋진 아침
the company lunch : 회식
the Christmas dinner : 크리스마스 저녁
이렇게 문맥에 따라 관사의 사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제 영어 못하는건 지겨워 Book > 이.영.지 - 프랙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6 - ~하는 중이었다 ‘과거진행’ (0) | 2024.11.26 |
---|---|
Chapter 5 - ~하는 중이다 ‘현재진행’ (0) | 2024.11.26 |
Chapter 4 – 계획된 미래 ‘be going to’ (1) | 2024.11.26 |
Chapter 3 – 즉흥적인 미래 ‘will’ (0) | 2024.11.26 |
Chapter 1 – 습관이나 버릇을 나타내는 ‘현재’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