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 1) 미래 표현 - be going to
이전 챕터에서 설명했듯이, be going to는 이미 생각했고 결정한 것 즉 계획 한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합니다. 여기에 있는 ‘going’은 계획이 이미 미래에 정해 져 있고 그 계획으로 확실하게 가는 중인 느낌이 있어요. 그래서 be going to는 말할 때 이미 나의 의도가 있어요. "~ 할 예정이야", "할 거야"처럼 이미 결정된 일, 계획된 일을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be going to 는 will 보다 이미 계획 돼 있고 결정 된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해요. 그래서 will 과 be going to 의 뉘앙스가 달라요.

Unit 2) be going to의 시제
be going to는 be 동사로 시제를 나타냅니다. 미래의 일을 이야기할 때는 be 동사를 현재형(am, are, is)으로 사용합니다.
be동사는 주어에 따라서 형태가 변화하며, 원래형태(기본형)은 be입니다.
주어
|
be동사
|
I
|
am
|
we/you*/they
|
are
|
he/she/it
|
is
|
my friends, the teachers...
|
are
|
my mom, a boy...
|
is
|
*you는 "너/너희"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수 취급을 하며, are과 함께 쓰입니다.
주어가 대명사일 때 주어와 be동사는 줄여서(축약형) 사용가능합니다. 대명사는 명사, 즉 고유의 이름을 대신 해 주는 명사입니다. 하지만 명사가 올 때는 축약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ex) "미첼 배고파." → "미첼" 대신 "나 배고파." → "나"가 대명사입니다.
"제시카는 키가 커." → "제시카" 대신 "그녀는 키가 커." → "그녀"가 대명사입니다.

평서문
|
축약형
|
I am
|
I’m
|
we are/ you are/ they are
|
we’re/ you’re/ they’re
|
he is /she is /it is
|
he’s/ she’s/ it’s
|
my friends are, the teachers are...
|
X
|
my mom is, the boy is...
|
X
|
* "my friends're"나 "the teachers're"와 같은 축약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Unit 3) be going to 의 부정문과 의문문
부정문을 만들 때는 be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만듭니다. be동사와 not도 축약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부정형
|
축약형
|
I am not
|
X
|
we are not/ you are not/ they are not
|
we aren’t/ you aren’t/ they aren’t
|
he is not /she is not /it is not
|
he isn’t/ she isn’t/ it isn’t
|
* am not 은 줄여 쓸 수 없어요!
의문문을 만들 때는 be동사와 주인공(주어)의 자리를 바꿔주면 됩니다!
평서문
|
의문문
|
I am
|
Am I
|
we are/ you are/ they are
|
Are we /Are you /Are they
|
he is /she is /it is
|
Is he/ Is she/ Is it
|
my friends are, the teachers are...
|
Are my friends/ Are the teachers...
|
my mom is, the boy is...
|
Is my mom/ Is the boy
|
부정의문문을 만들 때는 be동사를 반드시 줄인 형태로 사용합니다.
부정 의문문
|
Aren’t I *
|
Aren’t we /Aren’t you /Aren’t they
|
Isn’t he/ Isn’t she/ Isn’t it
|
Aren’t my friends/ Aren’t the teachers...
|
Isn’t my mom/ Isn’t the boy
|
* am not은 줄여 쓸 수 없기 때문에 aren’t 으로 사용합니다.
Unit 4) was, were going to (심화학습)

was/were going to는 과거 시점에서 미래에 일어날 예정이었던 일이나 그때 계획된 일을 나타낼 때 사용해요. 이는 화자가 과거에 계획이 있었다는 것을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데 보통 어떤 계획이나 의도가 있었으나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을 때 사용합니다.
"I was going to call you, but I forgot." (너에게 전화하려고 했는데, 잊어버렸어.)
여기서 화자는 과거에 전화하려고 했으나, 실제로는 전화하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이제 영어 못하는건 지겨워 Book > 이.영.지 - 프랙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6 - ~하는 중이었다 ‘과거진행’ (0) | 2024.11.26 |
---|---|
Chapter 5 - ~하는 중이다 ‘현재진행’ (0) | 2024.11.26 |
Chapter 3 – 즉흥적인 미래 ‘will’ (0) | 2024.11.26 |
Chapter 2 – 과거에 있었던 일 ‘과거’ (2) | 2024.11.26 |
Chapter 1 – 습관이나 버릇을 나타내는 ‘현재’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