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일상에서 과도한 호기심이 문제를 일으킬 때 우리는 '호기심이 화를 부른다'는 말을 사용합니다. 영어에도 이와 비슷한 표현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Curiosity Killed the Cat'입니다. 이 표현이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그리고 그 유래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uriosity Killed the Cat'의 의미와 사용 예
'Curiosity Killed the Cat'는 과도한 호기심이 문제를 일으키거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누군가가 지나치게 호기심을 보일 때 경고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You shouldn't go poking around in other people's business. Remember, curiosity killed the cat."
- "다른 사람의 일에 참견하지 않는 것이 좋아. 호기심이 화를 부른다는 것을 기억해."
'Curiosity Killed the Cat'의 유래

'Curiosity Killed the Cat'의 유래는 16세기 영국에서 처음 사용된 'Care Killed the Cat'이라는 표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여기서 'care'는 걱정이나 고뇌를 의미했으며, 지나친 걱정이나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첫 번째 기록된 사용은 1598년 벤 존슨(Ben Jonson)의 희극 "Every Man in His Humour"에서 발견됩니다. 이 희극에서 'care'가 사용되었으며, 'curiosity'로의 전환은 후대에 이루어졌습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Much Ado About Nothing" (1599년)에서도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 예가 있습니다. 현대적인 형태의 'Curiosity Killed the Cat'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1909년 "The Washington Post"에 실린 기사에서 'Curiosity Killed the Cat'라는 표현이 등장하면서 대중화되었습니다. 이 표현은 과도한 호기심이 종종 위험이나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A: I heard some weird noises coming from the old house next door. I'm thinking about checking it out.
B: I wouldn't do that if I were you. Curiosity killed the cat, you know.
A: You're right. It's probably better to stay out of it.
B: Exactly. Some things are better left alone.
(해석)
A: 옆집 오래된 집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는 걸 들었어. 가서 확인해볼까 생각 중이야.
B: 내가 너라면 그러지 않을 거야. 호기심이 화를 부른다는 걸 알잖아.
A: 맞아. 아마 안 건드리는 게 나을 거야.
B: 바로 그거야. 어떤 일들은 그냥 놔두는 게 좋아.

'Curiosity Killed the Cat'는 우리가 과도한 호기심으로 인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경고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표현입니다. 이 표현의 유래를 알게 되면, 더욱 그 의미가 깊이 다가올 것입니다. 일상에서 지나친 호기심을 보일 때, 우리는 한 번쯤 'Curiosity Killed the Cat'를 떠올리며 신중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peaking English Lessons > 이디엄 &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tting on the Fence":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다 (0) | 2024.06.10 |
---|---|
"Not Playing with a Full Deck": 멍청한 (0) | 2024.06.10 |
"A Snowball Effect": 눈덩이처럼 커지는 효과 (1) | 2024.06.10 |
"There'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 공짜 점심은 없다 (0) | 2024.06.09 |
"A Stitch in Time Saves Nine": 제때의 조치가 큰 손해를 막는다 (1) | 2024.06.09 |